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277)
[2024-04-05] 남해 다랭이마을 남해 다랭이마을 [일자] 2024.04.05(금) [날씨] 맑음 [장소] 다랭이마을 (제1주차장 : 경상남도 남해군 남면 남면로 702) [다랭이마을] (남해군여행 홈페이지(https://www.namhae.go.kr/tou)의 안내문) 초록의 비탈진 계단 위로 긴 노동의 시간이 멈춰선 듯하다. 45도 경사 비탈에 108개 층층 계단 680여 개의 논이 펼쳐져 있는 다랑이논. 이 '다랑이'는 산골짜기의 비탈진 곳 계단식의 좁고 긴 논배미란 뜻인데 ‘어서 오시다’라는 구수한 남해 사투리로는 ‘다랭이’라고 부른다. 우리네 어버이들이 농토를 한 뼘이라도 더 넓히려고 산비탈을 깎아 곧추 석축을 쌓아 계단식 다랭이논을 만든 까닭에 아직도 소와 쟁기가 필수인 마을이 바로 다랭이마을이다. 이 다랭이논은 2005년 1..
[2024-03-23] 제주도 비자림 제주도 비자림 [일자] 2024.03.23(토) [날씨] 흐림 [장소] 비자림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비자숲길 55 / 064-710-7911) [제주관광정보센터 - 비자림] 아이와 함께 천천히 걸으며 숲속의 신비로움에 빠지고 싶다면 비자림을 추천한다. 천 년의 세월이 녹아든 신비로움 가득한 비자림은 500~800년생 비자나무들이 자생하는 세계적으로도 희귀한 장소다. 벼락 맞은 나무부터 긴 세월이 느껴지는 아름드리 나무까지 다양한 비자나무를 만날 수 있다. 비자나무 외에도 단풍나무, 후박나무 등 다양한 수종이 숲을 메우고 있다. 덕분에 숲 입구에서부터 기분 좋은 향기가 퍼져 나온다. 피톤치드를 머금은 상쾌한 산책길을 따라 자박자박 걷다 보면 자연스레 산림욕의 매력에 빠지게 된다. 비자림 산책로는 ..
[2024-03-23] 제주도 구좌읍 모닥식탁 제주도 모닥식탁 [일자] 2024.03.23(토) [날씨] 흐림 [장소] 모닥식탁 인근 풍경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한동로 136) [위치] 카카오맵 편집 [탐방 기록] 제주도 여행 마지막 날은 동쪽에서 보내다가 제주공항으로 이동하기로 하였다. 구좌읍 한동리에 있는 '모닥식탁'에서 늦은 아침을 먹고 차도 건너편에 있는 안내판과 돌담에 이끌려 주변을 둘러보았다 [탐방 사진] ▼ 모닥식탁 건너편에 있는 '본향당' 안내판 ▼ 모닥식탁 건물 ▼ … ▼ 개불알꽃 - 꽃이 지고 나면 씨앗이 생기는데 이 씨방의 모양이 개의 불알을 닮았다고 붙여진 이름이란다. - 학명의 종명인 ‘cainotesticulata’도 ‘개의 고환 모양’이라는 뜻이라 한다. ▼ 인터넷에서 찾은 개불알꽃의 씨방 사진 ▼ 무꽃
[2024-03-22] 제주도 엉덩물계곡 제주도 엉덩물계곡 [일자] 2024.03.22(금) [날씨] 맑음 [장소] 엉덩물계곡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색달동 3384-4 / 공영주차장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색달동 2889-1) [위치] 네이버맵 편집 [제주관광정보센터 - 엉덩물계곡] 중문관광단지의 롯데호텔 동편으로 자리한 계곡이다. 큰 바위가 많고 지형이 험준하여 물을 찾는 짐승들조차 접근은 못하고 엉덩이를 들이밀고 볼일만 보고 돌아갔다고 해서 엉덩물계곡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봄이면 계곡 경사면을 따라 유채꽃이 만발하여 장관이다. 입장료를 받는 다른 유채꽃 단지와는 달리 무료로 입장할 수 있으며, 평지보다 유채꽃 풍경이 입체적인 특징이 있다. 올레 8코스에 포함되어 있으며, 중문달빛걷기공원으로도 불린다. 중문해수욕장 주차장에 주차..
[2024-03-21] 제주도 천미천 제주도 천미천 [일자] 2024.03.21(목) [날씨] 맑음 [장소] 천미천 (주차 : 블루보틀 제주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번영로 2133-30) [위치] 카카오맵 편집 [탐방 기록] 따라비오름 탐방을 끝내고 주차장에 도착했는데 아직도 해가 중천에 걸려 있다. 그래서 제주도 하천 중 길이가 28.98㎞로 제일 길다는 천미천을 둘러보기로 한다. 따라비오름 주차장에서 출발하여 블루보틀 제주 카페 주차장에 도착하니 주차 공간이 여유롭다. 이곳에 주차를 한 후 카페에서 차 한 잔 마시는 여유를 즐기고 바로 옆에 있는 천미천으로 걸어간다. 주차장 입구에서 오른쪽으로 가면 시멘트 포장로가 끝나는 곳에 차 높이가 낮은 차들은 신경써야 할 정도로 단차가 큰 턱이 나온다. 이곳만 지나면 이후 평탄한 흙길이 ..
[2024-03-21] 제주도 따라비오름 제주도 따라비오름 [일자] 2024.03.21(목) [날씨] 맑음 [장소] 따라비오름(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 가시리 산 62) [현황] 표고 342m, 비고 107m, 둘레 2,685m, 직경 855m, 면적 448,111㎡ [제주관광정보센터 - 따라비오름] 표선면 가시리에 위치한 따라비오름은 3개의 분화구(굼부리)와 6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다. 화산이 폭발할 때 분출된 용암은 부드러운 산세를 만들어냈고, 가을이면 오름을 뒤덮은 억새 군락이 장관을 이룬다. 이런 풍경에 취한 사람들은 따라비오름을 ‘오름의 여왕’이라 부르기 시작했다. 억새는 오름 초입부터 화려함을 뽐낸다. 넓은 평원은 바람에 흐드러진 하얀 억새풀로 채워지고 그 사이로 아늑한 오솔길이 놓였다. 최고의 인생샷을 남기기 위해 사람들은..
[2024-03-21] 제주도 용눈이오름 제주도 용눈이오름 [일자] 2024.03.21(목) [날씨] 맑음 [장소] 용눈이오름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종달리 산28) [현황] 표고 247.8m, 비고 88m, 둘레 2,685m 직경 855m, 면적 448,111㎡ [제주관광정보센터 - 용눈이오름] 구좌읍에 위치한 용눈이 오름은 해발 247.8m, 높이 88m, 둘레 2,685m 정도 되는 오름으로 360여개의 오름들 중 유일하게 분화구가 3개이다. 봄, 여름에는 잔디가 가을, 겨울에는 억새가 덮이며 계절마다 옷을 갈아입는다. 인체의 곡선처럼 부드러운 능선이 유독 아름다워 많은 사진 작가들이 찾는다. 한 가운데가 움푹 패어있어 용이 누웠던 자리 같다는 뜻을 담아 용와악(龍臥岳), 용이 놀았던 자리라는 뜻은 담아 용유악(龍遊岳), 용의 얼굴..
[2024-03-02] 갈맷길 6코스 #2(3구간_주례정 → 어린이대공원) 탐방 사진 갈맷길 6코스 #2(3구간_주례정 → 어린이대공원) 탐방 사진 [탐방 일시] 2024.03.02(토) 13:38~16:45(3시간 7분 // 구간 : 1시간 56분 / 휴식 : 0시간 36분 / 헛걸음 : 0시간 32분 / 이탈 : 0시간 3분) [날 씨] 맑음 / 하루 종일 강풍 [인 원] 성봉현 [구간 시간] 주례정(13:38~13:50) → 산불 감시 초소(1초소, 14:25) → 선암사(중간 인증대, 14:40~14:46) → 선암사(14:54~15:06) → 바람고개(15:20) →옥천약수터 입구(15:39) → 7코스 1구간 분기점(15:46~16:18) → 어린이대공원(16:36~16:42) → '어린이대공원입구' 버스 정류장(16:45) [탐방 사진] ▼ 6-2구간 종점이면서 6-3구간의 ..
[2024-03-02] 갈맷길 6코스 #2(2구간_도시철도 구포역 → 주례정) 탐방 사진 갈맷길 6코스 #2(2구간_도시철도 구포역 → 주례정) 탐방 사진 [탐방 일시] 2024.03.02(토) 10:03~13:38(3시간 35분 // 구간 : 2시간 51분 / 휴식 : 0시간 44분 / 접근·이탈 : 0시간 0분) [날 씨] 맑음 / 하루 종일 강풍 [인 원] 성봉현 [구간 시간] 도시철도 구포역(10:03) → 구포 무장애숲길 주차장(10:25) → 범방산 전망대(하늘바람전망대, 11:00~11:12) → 운수사(중간 인증대, 11:42~11:56) → 백양산 테마 임도 시점부(12:16) → 사상도서관 갈림길(12:40~12:45) → 구름전망대(12:54~12:57) → 사상정(13:15) → 주례정(13:38) [탐방 사진] ▼ 6-2구간의 시작점인 '도시철도 구포역' 인증대 ▼ 3..
[2024-03-02] 갈맷길 6코스 #2(2,3구간_도시철도 구포역 → 어린이대공원) : 봄날이라 생각하면 발걸음이 즐거워지는 임도 갈맷길 6코스 #2(2,3구간_도시철도 구포역 → 어린이대공원) : 봄날이라 생각하면 발걸음이 즐거워지는 임도 [탐방 일시] 2024.03.02(토) 10:03~16:45(6시간 42분 // 구간 : 4시간 47분 / 휴식 : 1시간 20분 / 헛걸음 : 0시간 32분 / 이탈 : 0시간 3분) [날 씨] 맑음 / 하루 종일 강풍 [인 원] 성봉현 [접 근] 서면역(1호선)→구포역(3호선) : 도시철도 [이 탈] 어린이대공원→'어린이대공원입구' 버스 정류장 : 도보 / '어린이대공원입구'→'서면한전' : 81번 시내버스 [구간 시간] 도시철도 구포역(10:03) → 구포 무장애숲길 주차장(10:25) → 범방산 전망대(하늘바람전망대, 11:00~11:12) → 운수사(중간 인증대, 11:42~11:56)..
[2024-03-01] 갈맷길 6코스 #1(4구간_도시철도 구포역 → 금정산성 동문) 탐방 사진 갈맷길 6코스 #1(4구간_도시철도 구포역 → 금정산성 동문) 탐방 사진 [탐방 일시] 2024.03.01(금) 12:35~16:13(3시간 38분 // 구간 : 2시간 31분 / 휴식 : 1시간 3분 / 이탈 : 0시간 4분) [날 씨] 맑음 / 하루 종일 강풍 [인 원] 성봉현 [구간 시간] 도시철도 구포역(12:35~13:17) → 화명생태공원 입구(13:37) → 화명생태공원 출구(14:14) → 화명교(14:26) → 제2대천교(14:36) → 누리전망대(15:09) → 화명수목원(중간 인증대, 15:19~15:21) → 금정산성 서문(15:24~15:30) → 금정산성 동문(15:59~16:09) → '동문' 버스 정류장(16:13) [탐방 사진] ▼ 6-2구간 및 6-3구간의 시작점인 도시철..
[2024-03-01] 갈맷길 6코스 #1(1구간_낙동강하굿둑 → 도시철도 구포역) 탐방 사진 갈맷길 6코스 #1(1구간_낙동강하굿둑 → 도시철도 구포역) 탐방 사진 [탐방 일시] 2024.03.01(금) 09:47~12:35(2시간 48분 // 구간 : 2시간 26분 / 휴식 : 0시간 8분 / 접근 : 0시간 14분) [날 씨] 맑음 / 하루 종일 강풍 [인 원] 성봉현 [구간 시간] 하단역(09:27) → 낙동강하굿둑(09:41~09:47) → 엄궁 농산물도매시장(10:18) → 삼락생태공원 입구(10:43) → 삼락생태공원(중간 인증대, 11:02~11:04) → 삼락습지생태원 국궁장 입구(11:43) → 낙동강횡단수관교(12:04) → 도시철도 구포역(12:35) [탐방 사진] ▼ 도시철도 1호선 하단역 2번 출구로 나와 하구둑교차로를 향해 가는 중이며 ▼ 하구둑교차로의 지하통로를 통과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