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277)
낙동정맥 지형도 #4(길등재 ~ 낙동정맥 분기점) 낙동정맥 지형도 #4(길등재 ~ 낙동정맥 분기점) ▼ 낙동정맥 지형도 #16(길등재 ~ 통고산) ▼ 낙동정맥 지형도 #17(통고산 ~ 백병산 갈림길) ▼ 낙동정맥 지형도 #18(백병산 갈림길 ~ 토산령) ▼ 낙동정맥 지형도 #19(토산령 ~ 낙동정맥 분기점) 2012.03.18(일) 낙동정맥 18구간 산행 후 통리재 구간과 낙동정맥의 분기점 위치가 잘못되어 수정하였음. 통리재~960능선 분기점 사이의 경로는 황색선 경로가 올바른 마루금으로 추정됨
낙동정맥 지형도 #3(가사령 ~ 길등재) 낙동정맥 지형도 #3(가사령 ~ 길등재) ▼ 낙동정맥 지형도 #11(가사령 ~ 별바위) ▼ 낙동정맥 지형도 #12(별바위 ~ 황장재) ▼ 낙동정맥 지형도 #13(황장재 ~ 창수목/자라목이) ▼ 낙동정맥 지형도 #14(창수령/자라목이 ~ 백암산 갈림길) ▼ 낙동정맥 지형도 #15(백암산 갈림길 ~ 길등재)
낙동정맥 지형도 #2(운문재 ~ 가사령) 낙동정맥 지형도 #2(운문재 ~ 가사령) ▼ 낙동정맥 지형도 #6(운문재 ~ 571봉) ▼ 낙동정맥 지형도 #7(571봉 ~ 아화리) ▼ 낙동정맥 지형도 #8(아화리 ~ 삼성산 갈림길) ▼ 낙동정맥 지형도 #9(삼성산 갈림길 ~ 한티재) ▼ 낙동정맥 지형도 #10(한티재 ~ 가사령)
낙동정맥 지형도 #1(몰운대 ~ 운문재) 낙동정맥 지형도 #1(몰운대 ~ 운문재) ▼ 낙동정맥 지형도 #1(몰운대 ~ 개금고개) ▼ 낙동정맥 지형도 #2(개금고개 ~ 금정산) ▼ 낙동정맥 지형도 #3(금정산 ~ 천성산) ▼ 낙동정맥 지형도 #4(천성산 ~ 영축산) ▼ 낙동정맥 지형도 #5(영축산 ~ 운문재)
[2011-01-07] 제주도 한라산 산행사진 2011. 01. 07(금) 한라산 산행 사진
[2011-01-07] 제주도 한라산 제주도 한라산 - 설국(雪國)을 가다 [산행일시] 2011. 01. 07(금) 08:00~17:00(9시간) [날 씨] (오전) 구름 많음, (오후) 맑음 [산행인원] 성봉현, 김만기 [접근방법] 서귀포 구 터미널→성판악휴게소 : 제주행 시외버스 [복귀방법] 성판악휴게소→제주 시외버스터미널 : 시외버스 [산행지도] 국제신문..
[2008-09-27] 삼각산(북한산) 숨은벽 삼각산(북한산) 숨은벽 릿지 [산행일시] 2008. 09. 27(토) 08:45~17:15 [날 씨] 맑음 [산행인원] 시인마뇽, 범솥말, 조부근, 성봉현 [접근방법] 봉화산역→불광역 : 지하철 / 불광역→효자비 : 704번 간선버스(청색) [복귀방법] 효자비→연신내역 : 704번 간선버스 / 연신내역→봉화산역 : 지하철 [산행..
[2008-08-04] 청송 주왕산(周王山) 주왕산(周王山) 경상북도 청송군 부동면 일대에 솟아있는 높이 720m의 주왕산! 주왕산(周王山)은 1976년 우리나라 12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경북 제일의 명산으로 산의 모습이 돌로 병풍을 친 것 같다하여 옛날에는 석병산(石屛山)이라 하였습니다. 주왕산은 신라 말부터 주왕이 은거하..
[2006-10-26] 삼각산(북한산) 솔고개→상장능선→영봉→백운대→백운대매표소 삼각산(북한산) 솔고개→상장능선→영봉→백운대→백운대매표소 [산행일시] 2006. 10. 26(목) 12:23~17:57(5시간 34분 // 산행시간 : 4시간 34분 / 휴식시간 : 1시간 00분) [날 씨] 맑음 / 구름 많음 [산행인원] 성봉현 [지형도명] 북한산국립공원 안내도 (2003.07.07 국립공원관리공단 발행) [접근방법] 봉..
[2010-10-24] 대구팀 합동산행-08_북한산(이북5도청 → 비봉 → 문수봉 → 의상봉 → 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 산행 사진 [대구팀 합동산행-08] 북한산(이북5도청 → 비봉 → 문수봉 → 의상봉 → 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 산행 사진 [산행일시] 2010.10.24(일) 10:00~16:35(6시간 35분) [날 씨] 맑음 [산행인원] 28명(대구팀 23명, 서울팀 5명) [산행시간] 이북5도청(10:00) → 비봉탐방지원센터 → 비봉 → 승가봉 → 문수봉 → 나한봉 → 용혈봉 → 가사당암문 → 의상봉 → 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16:35) [산행사진] ▼ 이북5도청 앞에서 출발하기 전 향로봉을 배경으로 단체사진 ▼ 비봉능선 오름길 ▼ 향적봉 갈림길 안부 사거리 ▼ 비봉 ▼ 비봉에서 본 비봉능선과 우측의 보현봉 ▼ 사모바위 앞 구릉 뒤로 보이는 북한산 백운대 ▼ 사모바위(권재형님과 동창들) ▼ 문수봉 오르는 암릉에서 뒤돌아본 비봉..
[2010-10-24] 대구팀 합동산행-08_북한산_이북5도청 → 비봉 → 의상봉 → 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 [대구팀 합동산행-08] 북한산_이북5도청 → 비봉 → 의상봉 → 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 [산행일시] 2016.10.23(일) 09:50~14:40(4시간 50분 // 산행시간 : 3시간 18분 / 휴식시간 : 1시간 32분) [날 씨] 맑음 [산행인원] 28명(대구팀 23명, 서울팀 5명 / 존칭 생략) (대구팀) 참사랑산악회 회원 및 지인(23명) (서울팀) 시인마뇽, 하이맛, 범솥말, 조부근, 성봉현 [접 근] 종로3가역 → 이북5도청 : 7212번 시내버스 [이 탈] 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 → 둥글장 식당 : 도보 / 둥글장식당 → 불광역 : 704번 시내버스 [산행시간] 이북5도청(10:00) → 비봉탐방지원센터 → 비봉 → 승가봉 → 문수봉 → 나한봉 → 용혈봉 → 가사당암문 → 의상봉 → 북한산성탐..
[2010-04-25] 대구팀 합동산행-07_김천 수도산 산행 사진 [대구팀 합동산행-07] 김천 수도산 산행 사진 [산행일시] 2010.04.25(일) 10:23~15:57(5시간 34분) [날 씨] 맑음 [산행인원] 14명(서울팀 5명, 대구팀 9명) [산행시간] 심방마을(10:23) → 흰대미산(10:59~11:17) → 헬기장(11:34) → 양각산(좌봉, 12:27~12:32) → 양각산(12:27~ 13:12) → 1237봉 삼거리(← 4.1km 우두령, 13:51) → 심방마을 갈림길(13:58~14:01) → 신선봉(14:44) → 수도산(14:49~15:02) → 헬기장(15:30) → 수도암(15:57) [산행사진] ▼ 산행 출발지인 심방마을 ▼ 심방마을을 출발 ▼ 흰대미산 오름길에 보이는 양각산 ▼ 내려다 본 심방마을 ▼ 흰대미산 ▼ 양각산 좌봉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