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山 홈페이지(http://san.chosun.com)에 실린 기사입니다.
다른 곳으로 복사할 경우 원본 출처(http://san.chosun.com/site/data/html_dir/2009/07/22/2009072200867.html)를
명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특별기고] 산악인이란 누구인가
산악인이란 누구를 두고 하는 말인가. 알 것 같으면서 잘 모르겠다.
산악인이 산에 가는 사람인 것은 분명한데 반드시 그렇지도 않은 것 같다. 보통 산에 가는 사람들을 산악인이라고 하지 않는 것도 사실이니 거기에는 조금 다른 뜻이, 달리 보는 관점이 있다.
산악인과 같이 쓰이는 말로 등산가가 있는데, 등산가와 산악인은 엄격한 의미에서 다르다. 국어사전에는 이 낱말들이 같은 것으로 나와 있으나 우리 주변에서 등산가라는 말은 별로 듣지 못한다. 대신 등산객으로 많이 쓰인다. '객(客)'이란 한마디로 '손님'이니 등산객은 어불성설이고 논리의 비약이다. 도대체 등산에 왜 '객'이 붙는지 모를 일이다.
외국에서는 어떤가. 등산이 원래 알프스의 고산지대를 무대로 서구(西歐)에서 시작되었고, 그 기원에는 독특한 의식과 행위가 있었다. 그것은 '알피니즘'으로, 그 주체를 또한 '알피니스트'라고 불렀다. 여기 등산의 원형이 있으며 이것이 그대로 이어져 오늘에 이르고 있다.
사실 '알피니스트'는 보통 산에 가는 사람이 아니고, 우리나라에서도 그런 뜻에서 등산 전문가를 '산악인'이라 부르고 있다고 본다. 따라서 '알피니스트'가 서구사회에서 독특한 의미를 가지는 것처럼 우리도 '산악인'에 그런 비중이 있어야 한다.
등산가를 영어로 'mountaineer(마운티니어)', 독일에서는 'bergsteiger(베르그슈타이거)'라고 하지만 그들은 '알피니스트(alpinist)'라고 공통된 명칭으로 부르기도 한다.
우리나라의 등산 전문지로 긴 역사를 가진 <월간山>이 창간 40주년을 맞아 새삼 '산악인' 문제를 다루어 주목을 끌었다. 오늘날 우리 산악계에서 산악인이라고 하면 어떤 사람들인가에 초점을 둔 모양인데, 그것은 그것대로 흥미 있는 문제이지만 사실 등산하는 사람을 이렇게 가르기는 쉬운 일이 아니다.
물론 여기에는 뚜렷한 기준이 있어 엄선한다고 해도 결코 만족하고 납득할 만한 결과를 기대하기가 힘들 것 같다. 다만 모처럼 내세우는 '산악인'의 개념인 만큼 한 번은 분명히 해두고 싶다.
'등산(登山)'은 원래 한자 문화권에 없던 말이다. 이를테면 서구의 '알피니즘'을 우리가 적당히 옮긴 것이다. '알피니즘'은 '알프스'를 바탕으로 생겨난 말이지만 '등산'에는 그런 근거나 전제가 없다. 다시 말해서 '등산'에는 알피니즘과 같은 역사성이 없다는 이야기다. 그러다 보니 우리 사회가 '등산'을 대하는 감각이나 태도가 빈곤하거나 부적절할 수밖에 없다. 이번에 <월간山>이 산악인 문제를 다루며 부딪친 고민과 어려움도 여기에서 왔다고 본다.
적어도 선진 등산국에서는 이러한 혼란과 애매함이 없다. 그것은 알피니즘이라는 개념이 처음부터 분명했기 때문일 것이다. 그들에게 '힐 워킹'이라는 차원이 있는 것은 고사하더라도 그들이 등산이라고 할 때에는 대체로 고산등반의 의미가 강하다. 그래서 서구인들과 이야기하다가 그들이 등산가이건 아니건 이쪽이 알피니스트라는 것을 알면 거의 예외 없이 눈빛이 달라지고 대하는 태도가 바뀐다. 그만큼 등산이나 등산가가 사회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이러한 차이는 어디서 오는가. 그것은 단순한 문화적 차이라고 볼 수가 없다. 오늘날 우리나라 등산잡지에는 높이 수백 미터에 지나지 않는 이른바 야산을 등산의 무대로 한 기사가 흔히 눈에 띄는데, 이것은 우리의 자연조건으로 보아 도리 없는 일이다. 하지만 적어도 등산 전문지의 주된 기사로서는 빈약한 느낌을 준다.
지난날 에베레스트에서 돌아오는 길에 네팔 카트만두에서 만난 서구인들과의 대화가 잊혀지지 않는다. 그들은 에베레스트 원정대장이 한국의 산은 높이가 2,000m를 밑돈다고 한 이야기에 모두 의아한 표정이었다. 그들은 그것은 'mountain'이 아니고 'hill'이라며 그런 한국이 에베레스트에 오른 것은 경탄이 아니라 의문이었다.
알피니즘이 표고 3,000m가 넘는 고소에서 탄생했고 그런 곳을 무대로 산행하는 자들이 알피니스트라고 인식하는 것이 등산의 세계인 것을 생각할 때, 여기 우리는 등산이란 무엇이며 등산가 또한 누구인가 새삼 문제 삼지 않을 수 없다.
이벤트화하고 있는 알피니즘
<월간山>은 산악인을 엄선하며 해외 원정과 고산 체험은 물론 현재 등반 활동을 계속하고 있는 점에 중점을 두었다. 그것은 그것대로 일단 평가의 기준이 되리라고 본다. 그러나 이러한 평가 과정에 소홀하고 미약한 점이 없지 않다. 시대적 배경과 등산사조가 고려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산악인은 시대의 산증인이며 등산사조의 중심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세계 등산의 역사에 나타나 있다. 윔퍼와 머메리와 불 등이 좋은 예다.
세계 등산 250년을 기록한 등산가들은 거개가 당대에 뛰어났던 인물들로, 그 생애에 놀라운 등반 기록을 세웠으며 그런 일로 등산사조의 흐름을 획기적으로 바꾸기도 했다. 그러나 그들은 요새 말하는 이른바 거벽 등반가는 아니었다. 물론 거벽이 등산 무대에 중심 이슈로 나타나기 전의 이야기다.
등산 무대인 고봉과 험로가 날로 줄어드는 오늘날 산악인의 조건도 변할 수밖에 없다. 미답봉이 없으니 초등이라는 기록을 내세우기도 어렵게 됐으며, 대자연의 환경이 급변하는 마당에 이른바 익스트림 클라이밍이라는 주관적 세계도 옛날의 의미에서 멀어지고 있다. 그 밖에도 정보와 통신, 교통수단 등이 발달해 황무지 개척이나 탐험과 다름없던 알피니즘이 점차 이벤트화하고 있는 것도 부인하지 못한다. 이러한 등산 세계 속에서 진정 '산악인'의 위신과 자격을 유지하기는 거의 불가능에 가깝지 않을까 싶다.
몇 해 전에 하인리히 하러가 갔지만 그가 영원한 산악인으로 우리 뇌리에 남아 있는 것은 바로 그의 아이거 북벽 초등 때문이다. 그 뒤 힐러리도 갔으니 시대적 영웅들의 모습과 수가 줄어들어 이제 얼마 남지 않았다. 앞으로 그런 인물들이 다시는 나타나기 어려우니 더욱 그렇다.
산천은 유구하다지만 등산의 무대인 대자연은 그렇지 않다. 에베레스트가 여전히 세계 최고봉의 위용과 권위를 유지하더라도 에베레스트에는 이벤트가 남아 있을 따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발터 보나티가 최근에 황금피켈상을 받은 것은 인상적이다. 그는 지난 세기 중반에 눈부시게 활약하고 일찍 산악계를 떠났지만 그의 등반상의 성취는 그야말로 타의 추종을 불허했다. 그러한 인물이 더욱 그리워지는 것은 나만의 감회는 아니리라.
메스너가 근자에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자기는 “산악인으로서 패배자”라며 작금의 심정을 토로했다. 여기에 순수 고차원의 알피니스트가, 그 이상형이 엿보인다. 20세기 후반 알피니즘의 세계에서 언제나 선두를 달리며 후퇴할 줄 몰랐던 그도 결국 불사조가 아니었다. 유구하다는 자연 속에 한때 그 세계를 주름잡던 거인들도 유수와 같은 세월 속에서는 결코 유구할 수 없는 것이 등산의 세계다.
나는 <월간山>이 제기한 산악인은 누구인가를 보며, 새삼 흘러간 등산의 역사를 눈앞에 그려본다. 그리고 그토록 거칠면서 화려했던 긴 역사 속에 그때 그때 부침한 위대한 알피니스트들과 자기와의 관계를, 특히 그들로부터 입은 삶의 도움을 생각했다. 내가 반세기를 등산 세계에서 살아오며 언제나 등산가로서의 자기검증을 소홀히 하지 않았던 것은 오로지 그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 글 김영도 77에베레스트 원정대장·한국등산연구소 고문
'등산 관련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간山] 이용대의 산행상담실_그럴 땐 이렇게 해보세요 (0) | 2011.02.22 |
---|---|
[월간山] 국립공원 정책 해부 - '황당무계의 극치'보고서로 세운 황당한 공원정책들 (0) | 2011.02.22 |
[월간山] 국립공원 정책 해부 … 이제 야간산행 금지는 해제해야 (0) | 2011.02.22 |
[월간山] 새 개방코스 … 한라산 돈내코 코스 (0) | 2011.02.22 |
[월간山] 분석_산행길에 나붙은 리본이 말해주는 것들 (2) | 2011.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