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 30구간(구룡령 → 조침령) 산행 사진(2/2)
[산행 일시] 2015.09.20(일) 07:40~16:35(8시간 55분)
[날 씨] 맑음 / 옅은 구름
[산행 시간] 구룡령(07:40) → 구룡령 옛길 정상(08:10~08:17) → 갈전곡봉(09:22~09:33) → 1022.6봉(△, 10:14)
→ 왕승골 갈림길 안부(10:48~10:56) → 968.3봉(△, 11:26~11:30) → △951.6봉(12:33~12:55)
→ 1059.2봉(13:28) → 이정표 구릉(조침령 5.8km, 13:56~14:03) → 옛 조침령(15:33~15:36)
→ 조침령(16:15~16:18) → 조침령터널 입구(418번 지방도, 양양 방면, 16:35)
[산행 사진]
▼ 산등성이 좌측 사면을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올라가는 산길은

▼ 통나무 계단으로 올라

▼ 넓고 평평한 능선 구릉인 1059.2봉으로 이어진다


▼ 계속해서 오름세를 유지하는 산길은 1090능선 구릉으로 연결되고
▼ 살짝 내려서면 나무 의자가 있는 너른 공터의 쉼터가 나오는데
▼ 임선봉이라 인쇄된 아크릴 판이 나무에 매달려 있다
▼ 통나무 계단을 내려가서
▼ 올라선 능선 구릉의 쉼터에는 조침령까지 5.8km 남았다고 한다
▼ 잔돌이 박힌 급경사의 내리막길은
▼ 제법 고도를 낮춘 안부로 떨어지고
▼ 올라가는가 싶던 산길은 이내 다시금 급한 내리막으로 이어져
▼ 산림청의 백두대간 심벌 마크와 함께 '숲은 녹색댐'이라는 안내문이 있는 넓직한 안부로 내려선다
▼ 그리 높지않은 능선 구릉을 두 번 넘어 내려서면 이정표가 있는 사거리 안부고
▼ 조침령으로 향하는 오르막길 옆에는 서면 황이리까지 2km라고 양각된 팻말이 서 있다
▼ 능선 구릉을 넘어 조금 더 올라가면 능선마루 삼거리가 나오는데 좌측 10시 방향의 능선길을 따르면
▼ 나무 의자가 있는 쉼터 구릉에 이른다
▼ 내리막길에 능선 삼거리가 나올 때 좌측 11시 방향으로 진행하면
▼ 지명만 새겨진 상당히 높은 이정표가 있는 능선 구릉에 이른다
▼ 이정표의 높이가 3m는 족히 넘을 것 같다
▼ 멀게만 느껴지던 조침령이 가까워진 것인지 좌측 멀리 도로가 보이고
▼ 설악산의 서북능선도 느낌상 좀더 가까이 보이는 듯하다
▼ 안부로 내려서니 조침령까지 1.5km 남았다고 적힌 합판의 팻말도 보이고
▼ 조금만 올라가면 군용인 듯한 삼각점이 매설된 742.8봉이며
▼ 잠시 후 옛 조침령에 내려선다
▼ 산등성이의 우측 사면으로 올라가는 산길은 진달래 관목인 듯한 나무들이 무성한 곳을 지나고
▼ 이번 구간의 지형도에 표기된 마지막 구릉인 794봉을 향한 오름길이 시작된다
▼ 암봉을 지나고
▼ 조금 더 올라가 능선 구릉을 넘어 안부에 내려선다
▼ 양양 방면에서 인제 방향으로 올라오는 418번 지방도를 내려다보면서 가는 산길은
▼ 마지막 794봉에 오른다
▼ 높이를 낮추는 산길은 나무 다리도 만나고
▼ 쇠나드리에서 조침령으로 연결되는 임도로 내려선다
▼ 임도를 따라 자동 우량 경보기와 헬기장을 지나면 군부대에서 세운 조침령 표석이 나오며
▼ 이어서 조침령에 이른다
▼ 구간 산행을 조침령에서 끝내고 양양으로 가기 위해 418번 지방도의 조침령터널을 향해 임도를 계속 따르면
▼ 양양 방면으로 내려가는 418번 지방도가 보이고
▼ 우측으로는 조침령터널이 보인다
▼ 418번 지방도
'백두대간 산행 기록 > 한반도 물길을 동서로 가르는 산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5-09-30] 백두대간 31구간(조침령 → 한계령) 산행 사진(1/3) (0) | 2015.10.07 |
---|---|
[2015-09-30] 백두대간 31구간(조침령 → 한계령) : 숨소리도 내지 말고 발자국을 지워라 (0) | 2015.10.07 |
[2015-09-20] 백두대간 30구간(구룡령 → 조침령) 산행 사진(1/2) (0) | 2015.09.23 |
[2015-09-20] 백두대간 30구간(구룡령 → 조침령) : 일렁이는 잔물결 같은 잡목의 산등성이 (0) | 2015.09.23 |
[2015-09-19] 백두대간 29구간(진고개 → 구룡령) 산행 사진(2/2) (0) | 2015.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