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홈페이지(http://www.me.go.kr)의 '보도∙해명자료'에 발표된 무등산 국립공원 지정 공지입니다.
원문 출처 : http://www.me.go.kr/web/286/me/common/board/detail.do?idx=183612&decorator=me&boardId=notice_02
무등산, 24년 만에 제21호 국립공원 지정 확정
◇ 공원구역은 도립공원의 2.5배인 75.425㎢로 대폭확대
- 무등산 보호운동(‘89∼) 등 지역사회 공감대 형성, 2년4개월에 걸친 중앙정부·지자체·주민·시민단체의 무등산 보전노력 결실
◇ 환경보전과 지역발전 도모를 위한 ‘무등산 국립공원 비전 선포’ 예정 (‘13.3월초 국립공원사무소 개소식)
- 핵심지역 생태계조사, 명품마을 조성, 사유지 매입, 탐방지원시설 설치 등 후속조치 차질없는 추진
□ 환경부는 12.27일 제102차 국립공원위원회(위원장 윤종수 차관)을 개최하여 ‘무등산 국립공원 지정 및 공원계획 결정(안)’을 최종 심의·확정하였다고 밝혔다.
○ 이로써, 1988.6월 변산반도, 월출산 국립공원 지정 이후 24년 만에, 도립공원 지정(1972.5월)으로부터는 40년 만에 무등산이 우리나라의 21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 공원구역 면적은 △광주 북구 26.865㎢, △광주 동구 20.789㎢, △전남 화순군 15.802㎢, △전남 담양군 11.969㎢ 등 총 75.425㎢으로서 도립공원 면적(30.230㎢)의 2.5배 규모이다.
□ 2010.12.24일 광주광역시의 무등산 도립공원의 국립공원 승격지정 건의에 따라, 환경부는 2011.10월부터 국립공원 지정 타당성 조사에 착수하였으며,
○ 주민설명회·공청회('12.6월), 관할 지방자치단체 및 주민 의견수렴('12.7∼8월), 관계부처 협의('12.9월∼)을 차례로 진행하여 총 2년 4개월에 걸쳐 금번 국립공원 지정작업을 완료하였다.
□ 그간 무등산 도립공원은 공원면적이 협소(30.230㎢)하고 산 정상부로 구역 경계가 설정되어 있어, 공원구역이 생태계 연결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완충공간이 부족한 한계점이 있었다.
○ 또한, 탐방객의 대부분이 광주광역시 북구·동구에 집중되어 공원이용의 불균형과 공원훼손을 우려하는 지적도 있었다.
□ 무등산(75.425㎢)의 자연자원 가치는 타 국립공원과 비교할 때, 국립공원으로서 지정가치가 충분한 것으로 평가된다.
① (자연생태계) 멸종위기종 8종 포함 총 2,296종 서식 (경주국립공원 제외한 육상 16개 국립공원 중 13위)
* 멸종위기종(8종) : 수달, 구렁이, 삵, 말똥가리, 흰목물떼새, 독수리, 맹꽁이, 참매
** 천연기념물(8종) : 수달, 원앙, 두견이, 독수리, 참매, 새매, 붉은배새매, 황조롱이
② (자연경관) 주상절리대(입석대, 서석대 등) 포함하여 산봉·기암·괴석 등 경관자원 61개소 분포 (16개공원 중 6위)
* 무등산 주상절리대 : 육각기둥 1개당 직경이 2∼3m, 높이 20∼30m, 폭 40∼120m 가량으로 돌기둥 하나 크기가 남한 최대규모(자료 : 전남대학교 공룡연구센터)
③ (문화경관) 보물 2점 등 지정문화재 17점 보유 (16개공원 중 14위)
* 광주호 일원·가사문화권(소쇄원 등) 지역은 주민·지자체 반대로 편입제외
④ (위치 및 이용편의) 도심접근성이 우수하며, 북한산 국립공원('10년 851만명) 수준의 탐방객 이용 자료 : 북한산 국립공원 탐방객 통계 (2012, 국립공원기본통계, 국립공원관리공단), 무등산 탐방객 통계 (2011, 광주광역시)
('10년 679만명) (16개공원 중 2위)
□ 무등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관리됨에 따라 내년부터 자연자원의 보전은 물론 지역사회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다양한 관리가 이루어진다.
○ 첫째, 핵심지역 생태계를 보호하고, 훼손된 지역을 복원한다.
수달, 삵 등 멸종위기종 서식지역에 대한 정밀생태계 조사를 실시하고, 훼손된 탐방로 정비 및 정상부 경관복원사업 등을 단계적으로 실시한다.
○ 둘째, 지역발전을 도모한다.
국립공원 지정에 따른 브랜드화, 무등산 주상절리대 세계자연유산 등재지원 등 지역의 인지도를 높이고, 개발제한구역 지정('73∼)으로 상대적 소외감을 지녀온 담양·화순 지역을 중심으로 생태관광 인프라를 확충하고 명품마을*을 조성한다.
* 명품마을 : '12년말 현재 10개마을 지정 중, '13년도에는 무등산 1개소만 지원예정
* 국립공원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 북한산 3,847억원/년, 설악산 3,351억원/년, 지리산 1,076억원/년, 계룡산 1,059억원/년 등 (‘11년, 국립공원관리공단)
○ 셋째. 국가의 지원을 받게 된다.
공원관리업무가 국가(환경부)로 전환됨에 따라 전액 국가예산을 지원받아 관리된다. 또한 국내 유일의 공원관리 전문기관인 국립공원관리공단 위탁관리를 받게되며, 관리인력은 총 100명 규모로 2배가량 증원된다.
○ 넷째, 공원관리청과 관계기관·단체간 협력을 강화한다.
무등산 공원관리사무소 개소('13.3월) 이후 지자체, 시민단체((사)무등산보호단체협의회, 무등산공유화재단 등), 사찰, 주민대표 등이 참여하는 ‘지역협력위원회’를 구성할 계획이다
* 약 2년간 공원관리업무 인수·인계병행실시(국립공원관리공단-광주광역시)
□ 무등산은 사유지 비율(74.7%)이 매우 높고, 신규 편입지역 대부분(95.6%)이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어, 사유재산권 침해, 지역발전에 대한 소외감, 이중규제 우려 등 주민과 토지소유주의 반대가 매우 심했었다.
○ 이에, 환경부와 국립공원관리공단은 금년 3월부터 무등산 국립공원예정지 인접 마을(15개소)을 대상으로 총 25여회 간담회를 개최하는 한편, 타 국립공원 명품마을 팸투어 실시 등 지속적인 설득과정을 전개하였다.
- 또한 공식적으로 제출된 주민의견*에 대해서는 국립공원계획 등에 최대한 반영하였으며, 미반영 사항에 대한 추가민원까지 협의하는 등 주민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 국립공원위원들은 무등산의 생태환경과 역사문화 자원의 가치를 증대하고 항구적 보전을 위하여 개인 사유지를 공공의 용도인 국립공원으로 편입하는데 동의한 지자체와 주민의 결단에 높은 평가를 내리면서,
- 사유지 매입예산을 우선적으로 확보하고, 국민신탁이나, 기증운동 등과 연계한 다양한 대책을 마련할 것을 강조하였다.
□ 환경부 관계자는 국립공원 지정을 통해 광주광역시·화순군·담양군이 무등산 생태·문화 공동체를 형성하게 된 점이 큰 성과라며,
○ 내년 3월 국립공원사무소 개소식에서 지자체와 합동으로 무등산 국립공원 비전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무등산국립공원 경계도]
'등산 관련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간山] 하산시 무릎 부하는 체중의 3~5배! (0) | 2013.01.23 |
---|---|
[월간山] 뼈·인대·근육·반월상 연골로 구성 (0) | 2013.01.18 |
산림청 선정 - 한국의 100대 명산 (0) | 2012.10.24 |
등산용어 (0) | 2012.01.01 |
[국립공원] 2011 봄철 건조기 산불조심기간 탐방로 출입통제 공고 (0) | 2011.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