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http://www.foa.go.kr) 홈페이지의 정책의 숲에서 가져온 내용입니다.
◎ 최초출현
실질적 내용상의 백두대간이 최초로 나타난 문헌은 10세기 초이 고려 승려 도선이 지은 옥룡기(玉龍記)로서
"우리나라는 백두(산)에서 일어나 지리(산)에서 끝났으니 물의 근원, 나무 줄기의 땅이다." 라고 표현되어 있습니다.
다음으로 백두대간을 의미하는 대간(大幹)이라는 용어를 국내에서 최초로 사용한 문헌은 이중환의 [택리지](1751년)로서
"대간은 끊어 지지 않고 옆으로 뻗었으며 남쪽으로 수천리를 내려가 경상도 태백까지 통하여
하나의 맥령(脈嶺)을 이루었다." 라고 표현되어 있습니다.
백두대간과 백두정간이라는 말을 처음 사용한 문헌은 이익의 [성호사설](1760년)로서,
백두산을 우리나라의 조종산이며 대간의 시작 산으로 보았으며 "백두대간(白頭大幹)" 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고
산맥상황도 나름대로 제시하였습니다.
다음으로 백두대간을 체계화한 것은 1770년경(영조) 여암 신경준의 [산경표]로서 백두대간에 대해서 그 용어뿐만 아니라
백두산에서 지리산에 이르는 산맥연결의 상태·관계·순서를 알기쉽도록 일목요연하게 표로 제시 하였습니다.
다만 산경표의 저자나 제작시기에 대하여 다른 의견도 있습니다.
우리청(산림청을 말함)에서는 ['96 백두대간 연구용역] 결과보고서에 의거 여암의 저서로 추정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여암이 지은 [산수고]에 산경의 내용이 있고 이 저술과 거의 동시기에 이루어진 점을 감안하여
신경준이라고 보게 되었습니다.)
◎ 표기의 특징
백두산을 어미산(根,母,始), 백두대간을 몸체(幹,身)로 표현하여 백두산과 백두대간을 인체의 母-體로,
나무의 根-幹관계로 보고 있으며 지질구조나 구조선의 방향등 지표하의 지구 내부적 구조와 관계없이
지표상에 나타난 산천(山川)의 모양과 방향을 기초로하여 표기하였습니다.
신경준의 [산경표(山經表)]를 위주로 한 표기의 특징을 보면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1. 기복은 있으나 단절되지 않은 큰산줄기(大連山脈)
2. 대분수령으로 한반도 北-南走向의 大山脈軸
3. 대간, 정간, 정맥으로 계급화(位階性)
4. 주요 하천의 본류 방향을 기준으로 正脈이름을 붙임.(예 : 낙동강동쪽 → 낙동정맥)
5. 분기(分岐)가 이루어 진 곳에 주요 산들이 위치(두류산 태백산, 속리산등)
6. 지리산은 백두산의 氣가 흘러(頭流)와 축적된 곳으로 보아 두류산으로 표기하고 중요성을 부여하였습니다.
◎ 백두대간의 산지체계 인식
수계가 연속적인 것과 같이 산계도 연속되어 있음을 강조함으로써 한반도의 지리적 일체감을 인식할 수 있으며
경관측면에서 첨봉이나 능선 및 생활권역의 연결통로로서 주요고개를 중요시하고
고도가 높은 산능선일수록 위계가 높은 기본줄기로 보았습니다.
줄기의 의미로 연결된 선을 설정하고 폭을 가진 띠의 형태인 산지개념 이므로
지질구조, 지형의 형성과정과 변화등은 고려하지 않았으며 인문 적인 생활영역을 구분하고 있는 분수계 체계를 중시하며
국토의 일체감 측면에서 백두산과 지리산을 연결하면서 백두산의 상징성을 한반도 전역으로 전파한다고 인식하였습니다.
◎ 산맥식 표기의 출현은
현행산맥체계는 일본인 지질학자 고또분지로(小藤文次郞)가 1903년 발표 한 [한국산악론]에 기초를 두고 있습니다.
그후 1904년, 야쓰쇼에이(失津昌永)가 이를 바탕으로 [한국지리]를 저술 하면서 사용되기 시작하여
1908년 한국에서 나온 대동서관 편집의 [대한 지지교과서(고등소학 대한지지)]에 산맥식 표기가 그대로 채택된 이후
자연스럽게 도입·사용되었습니다.
※ 야쓰쇼에이는 저서 [한국지리]에서 "고또분지로가 1900년부터 약 15개 월간 탐험 여행에 의거하여
한국의 산악계통과 지체구조를 밝혀냈으며 1901년 조선남부의 지세, 1902년 조선북부의 지세,
그리고 1903년에는 조선의 산악에 대해서 각각 논문을 발표 하였다"고 기록하였습니다.
따라서 현행산맥체계에 비해 백두대간 표기는
고려초에 등장한 이후 20세기초까지 약 1,000년간 사용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산맥식 표기의 특징은
지질구조선에 의한 산맥체계입니다.
지도상에 산맥을 표기하면서 산계(山系)나 산맥(山脈)의 용어를 사용 하였습니다.
산맥방향을 3가지로 제시하였습니다(한국방향, 요동방향, 중국방향)
◎ 두 방식 표기의 장단점
백두대간 체계는 지표분수체계에 따라 분류하였고, 현행 산맥체계는 지질구조 체계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 성격과 장단점
구분 |
백두대간 |
산맥체계 |
성격 |
- 산과 강에 기초하여 산줄기를 형성 | - 지하지질구조선에 근거하여 땅위의 산을 분류 |
- 산줄기는 산에서 산으로만 이어짐 | - 산맥선이 중간에 강에 의해 끊어짐 | |
- 실제 지형과 일치하는 자연스러운 선 | - 실제지형과 불일치하는 가공된 지질선 | |
장점 |
- 경관상 잘 보이는 무단절의 분수령 중심으로 | - 국제관행에 부합됨 |
하천, 산줄기 등의 파악이 쉬움 | - 산맥형성의 원인과 관련성이 높음 | |
- 따라서 산지이용계획과 실천에 편리함 | ||
- 풍수지리적한국지형과 山系의 이해에 편리 |
'백두대간∙정맥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토지리정보원] 대한민국전도 (0) | 2011.02.20 |
---|---|
[산림청] 백두대간 CI와 LOGO (0) | 2011.02.20 |
[국립공원관리공단] 백두대간 탐방로 안내 (0) | 2011.02.20 |
산경도(개념도) (0) | 2011.02.20 |
박성태님의 남한산경도 (0) | 2011.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