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10-27] 대구팀 합동산행-14_강화도 마니산 산행 사진
[대구팀 합동산행-14] 강화도 마니산 산행사진
[산행일시] 2013. 10. 27(일) 11:05~15:37(4시간 32분)
[날 씨] 맑음
[산행인원] 17명(대구팀 11명, 서울팀 6명)
[산행시간] 하늘재(11:05) → 280능선(△, 11:47~11:50) → 단군로 합류점(12:07) → 능선(점심, 12:13~12:47)
→ 참성단(13:27~13:32) → 마니산(13:35~13:40) → 469봉(△, 14:12~14:14) → 너럭바위(14:52~13:02)
→ 함허동천(15:11~15:15) → 매표소(15:37)
[산행사진]
▼ 강화도 선수능선(참성단~선수포구) 상의 하늘재로 이동하는 일행
▼ 하늘재에 있는 '강화 나들길' 표지목
▼ 산행 들머리인 하늘재(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 장화리 산55)
▼ 마니산 방향으로 올라가면서 뒤돌아 본 하늘재
▼ 하늘재에서 약 15분 후 만난 이정표
▼ 260능선 상의 바위 - 사방으로 막힘없는 조망이 일품이다
▼ 가야 할 마니산 참성단이 멀고 높아만 보인다
▼ 북쪽으로 펼쳐진 상방리 방향의 모습
▼ 서쪽의 후포항 방향 모습
▼ 동쪽 동막리 해안가의 분오리돈대에서 서쪽 선수돈대까지 이어지는 능선 상의 이정표
▼ 280능선 상의 삼각점[강화 423]
- 국토지리정보원의 국가기준점발급시스템(http://nbns.ngii.go.kr)에는 사용할 수 없는 삼각점으로 정의되어 있다
▼ 참성단으로 향하는 선수능선길은 의외로 한적하기만 하다
▼ 마니산국민관광단지로 이어지는 단군로 분기점이다 - 무슨 이유로 선수포구 방향의 능선길을 막았는지 모르겠다
▼ 그리고 바로 만나는 단군로 합류점의 이정표
▼ 서쪽 바다의 막힘없이 트이는 조망을 볼 수 있는 전망처
▼ 기도원에서 올라오는 길과 만나는 곳의 이정표
▼ 372개의 계단의 시종점
▼ 이제 손에 잡힐 듯 가까워진 참성단
▼ 참성단(塹星壇) - 문화재 지정번호 : 사적 제136호(1964.07.11 지정)
▼ 참성단과 소사나무
▼ 참성단에는 많은 인파로 북새통이다
▼ 바로 앞의 마니산과 우측으로 보이는 △469봉
▼ 첨성단 보호철망 아래로 진행한다
▼ 참성단에서 보이던 산불감시초소
▼ 마니산
- 하지만 대부분의 지도에는 정수사 방향의 다음 봉우리인 삼각점이 매설된 469봉을 마니산으로 표기하고 있다
- 최근에 국토지리정보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한 결과 이 봉우리가 마니산으로 표기되어 있다
▼ 단체사진
▼ 북적이는 등산객 너머로 참성단이 보인다
▼ 대부분의 지도에 마니산으로 표기되어 있는 469봉
▼ 자연 상태의 바윗면에 글자를 새긴 참성단중수비
▼ 참성단중수비 인근의 바위
▼ 함허동천 방향으로 가는 길은 아기자기한 암릉길로 이어진다
▼ 참성단 방향으로 뒤돌아 보고
▼ 단풍과 어우러진 암릉길
▼ 하늘선을 걷는 산꾼들
▼ 고운 단풍옷을 입은 마니산 능선
▼ 화강암석 표주석 대신 자연석의 표면에 십자선을 표기한 삼각점(초록색 원)이 있는 469봉
- 대부분의 지도는 이곳을 마니산이라 표기하지만 국토지리정보원 홈페이지에는 정상목이 있는 봉우리로 수정되어 있다
▼ 삼각점 표시와 삼각점 안내문
▼ 겹겹이 층을 이룬 듯한 암릉길에서의 조망은 시원스럽다
▼ 정수사와 함허동천 분기점에서 함허동천 방향으로 내려오면 있는 전망대 겸 쉼터
▼ 또 한 번 정수사 분기점을 만나고
▼ 함허동천 방향으로 직진하다가 만난 참나무의 강인한 생명력이 감탄스럽다
▼ 다소 급한 내리막길이 끝나는 곳에 정수사 갈림길이 또 나오고
▼ 물이 흐르는 바위면에 새겨진 '涵虛洞天(함허동천)' 네 글자
- '구름 한 점 없이 맑은 하늘에 잠겨 있는 곳' 이란다
▼ 함허동천 야영장이 우측에 있고
▼ 좌측편에는 '檀儉摩尼崇慕(단검마니숭모)'라고 음각된 비석이 있다
▼ 야영장의 급수대를 지나면
▼ 함허동천 매표소가 나온다
▼ 함허동천 주차장에서 대구팀과의 열네 번째 합동산행을 끝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