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 17구간(이화령 → 하늘재) 산행사진(3/3)
[산행일시] 2015.06.13(토) 10:14~19:12(8시간 58분)
[날 씨] 맑음 / 구름 많음
[산행시간] 이화령(10:14) → 758봉(헬기장, 10:33) → 조령산(11:24~11:31) → 신선암봉(12:28~12:38)
→ 928봉(13:18~13:23) → '문경새재 제2관문 갈림길' 이정표(13:49~13:57) → 깃대봉 갈림길(14:34)
→ 조령 제3관문(14:52~15:29) → 마패봉(16:02~16:10) → 동암문(17:14~17:19) → 960봉(18:00~18:05)
→ 탄항산(18:35~18:38) → 하늘재(19:12)
[산행사진]
▼ 마패봉의 정상석에 표기된 높이가 제각각이다
▼ 마패봉에서 부봉 방향으로 직진하면 돌탑과
▼ 오래된 이정표가 나오며
▼ 사문리탐방지원센터로 분기되는 마패봉 삼거리이다
▼ 통나무계단길을 조금만 내려가면 쇠파이프로 만들어진 계단길로 이어지고
▼ 고도를 급하게 떨어뜨리면서 안부로 내려서는데 옛 주막터인 동화원 방향 표지판이 있는 이정표가 서 있다
▼ 이제 높낮이의 차가 별로 없는 평탄한 능선길로 펼처지는 마룻금 산길은 성터의 흔적과 함께 한다
▼ 힘자랑하는 듯 여러 가지로 뻗어 자라는 소나무도 만나고
▼ 오백 미터 간격으로 서 있는 이정표를 자주 본다
▼ 잠시 시야가 트이는 곳에서는 부봉이 높아만 보이고
▼ 비교적 온전한 성곽이 보이는가 싶으면
▼ 동암문이 있는 안부에 이른다
▼ 동암문에서 부봉 방향으로 다시금 고개를 세우는 산길은 십여 분 이상 비탈길을 보여주다가 갈 지(之)자 형태로 올라가는데
▼ 이내 부봉으로 분기되는 갈림길을 만난다
▼ 부봉은 우측으로 올라가야 하므로 마룻금을 따라 조금만 내려가면
▼ 철제 계단으로 정비된 산길이 나온다
▼ 계단을 올라 바위를 수평으로 돌아가기 전 잠시 멈추어서 지나온 부봉삼거리가 있던 봉우리와 부봉을 뒤돌아본다
▼ 능선 구릉을 넘어서서 보이는 저 구릉이 960봉이겠거니 하길 여러 번, 더 이상 오를 길이 없는 지점에서 나타난다
▼ 좌측으로 90도 방향을 바꾸어 내려가는 계단길은 완만한 산길로 이어지다가
▼ 다소 경사진 내리막길로 바뀌어
▼ 평천재로 떨어진다
▼ 또 다시 찾아드는 완만하고 부드러운 능선길은 월항삼봉으로도 불리는 탄항산으로 올라선 다음
▼ 하늘재를 향해 고도를 낮추기 전 시원스런 조망을 보여준다
- 고사목 우측으로 주흘산(영봉)이 보이고 방향을 바꾼 960봉은 우측편 나뭇가지에 살짝 가려져 있다
▼ 짙푸른 녹음으로 조망이 막히는 산길을 걷다 보면 측면에 도근점이라 음각된 표주석 두 개가 매설된 곳이 나오고
▼ 잠시 내려섰다가 좌측으로 마사토 같은 흙이 쌓여 있는 야트막한 능선으로 올라서니 모래산이라 한다
▼ 하늘재로 내려가는 길은 다시 약간 가파른 계단길로 바뀌지만
▼ 포암산의 기세에 억눌리는 것인지 금방 수그러든다
▼ 개인농장 울타리를 따라 내려가다가 좌측 계곡으로 내려서는 듯 하지만 우측으로 방향을 틀어 올라서니 물탱크가 보인다
▼ 마룻금을 차지한 물탱크 때문에 잠깐 계곡 쪽으로 내려섰다가 올라온 산길은 하늘재라고 음각된 커다란 표석을 만난다
▼ 표석을 지나 계단을 따라 하늘재로 내려간다
▼ 계단이 끝나는 곳에 하늘재공원지킴터가 있고
▼ 아스팔트로 포장된 길을 따라 하늘재산장으로 발걸음을 옮긴다
▼ 이곳 하늘재산장에서는 식사만 가능하고 조금 더 내려가면 있는 가옥에서 잠을 자는 구조이다
▼ 하늘재산장에서 숙박 후 18구간(하늘재 → 벌재)을 연속 산행하려 하였지만
산장지기와의 의사 소통 불일치로 산행을 접고 서울로 복귀한다
▼ '포암' 시내버스 회차지점으로 가면서 본 하늘재이고
▼ 칠백여 미터 정도 걸어 내려가면 문경읍의 '문경' 버스 터미널에서 출발한 시내버스가
이곳에서 회차하여 문경시(점촌)까지 운행한다
'백두대간 산행기(북진 - 진부령에서 휴식 중) > 한반도 물길을 동서로 가르는 산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5-07-04] 백두대간 18구간(하늘재 → 벌재) 산행사진(1/3) (0) | 2015.07.07 |
---|---|
[2015-07-04] 백두대간 18구간(하늘재 → 벌재) : 아니 지난 듯 하더라도 흔적은 남더라 (0) | 2015.07.07 |
[2015-06-13] 백두대간 17구간(이화령 → 하늘재) 산행사진(2/3) (0) | 2015.06.16 |
[2015-06-13] 백두대간 17구간(이화령 → 하늘재) 산행사진(1/3) (0) | 2015.06.16 |
[2015-06-13] 백두대간 17구간(이화령 → 하늘재) : 암릉 능선, 파도타기를 하다 (0) | 2015.06.15 |